맨위로가기

혼다 다다토시 (1820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다 다다토시 (1820년)는 일본 에도 시대 후기의 다이묘이다. 1819년에 태어나 1883년에 사망했다. 혼다 타다토모의 아들이자 혼다 타다노리의 양자로, 1860년 혼다 타다노리의 사망으로 가문을 계승했다. 지샤 부교, 소자반, 와카도시요리 등의 막부 요직을 역임했으나, 보신 전쟁에서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맹하여 신정부군에 적대, 2000석 감봉 및 은퇴 처분을 받았다. 이후 종5위로 복귀했으나, 6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즈미 혼다가 - 혼다 다다유키
    혼다 다다유키는 에도 시대 이즈미번의 번주로, 니혼자에몬 단속 소홀의 책임을 물어 이봉되었으며, 은거 후 "츠보야마집"이라는 저서를 남겼다.
  • 이즈미 혼다가 - 혼다 다다모치
    혼다 다다모치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혼다 다다카쓰의 손자이자 혼다 다다요시의 차남이며, 1662년 영지를 분할받아 아사카와 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로 사망하여 동생이 가문을 계승하였다.
  • 이즈미번주 - 혼다 다다유키
    혼다 다다유키는 에도 시대 이즈미번의 번주로, 니혼자에몬 단속 소홀의 책임을 물어 이봉되었으며, 은거 후 "츠보야마집"이라는 저서를 남겼다.
  • 이즈미번주 - 나이토 마사치카
    나이토 마사치카는 이즈미번 초대 번주 나이토 마사하루의 장남으로, 어린 나이에 가독을 상속받아 번정의 기초를 다지고 학문에 정진하여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았으며, 소자반과 와카도시요리를 역임했다.
  • 1883년 사망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3년 사망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혼다 다다토시 (1820년)
기본 정보
혼다 다다토시
시대에도 시대 후기 - 메이지 시대
출생문정 2년 11월 27일 ( 1820년 1월 12일)
사망메이지 16년 (1883년) 2월 16일
어릴적 이름데쓰시로
이름다다토시
세이옹
시호온도쿠인덴 세이옹라쿠신다이고지
묘소도쿄도스미다구 무코지마의 고후쿠지
관위종5위하노토노카미
막부에도 막부지샤부교, 소샤반, 와카도시요리
섬긴 주군도쿠가와 이에모치 → 요시노부
무쓰이즈미번 번주
씨족혼다 씨 (헤이하치로 가문)
아버지혼다 다다토모
어머니데라사와 씨의 딸, 오테루
양아버지혼다 다다노리
형제자매다다노리, 다다토시, 사다, 오쿠보 다다쿠니 정실, 이노우에 마사카즈 정실, 오카다 젠포 정실, 센고쿠 히사요시 정실, 이시카와 소스케 정실, 고이데 히데테루 실, 도야마 가게요시 실 등
정실호리 나오타다의 딸
계실야나기사와 사토아키라의 딸
양자혼다 다다노부
번주 재임 정보
전임혼다 다다노리
후임혼다 다다노부
직책이즈미번 번주 (혼다 가문)
대수6대
임기1860년 ~ 1868년

2. 생애

분세이 2년 (1819년) 11월 27일, 혼다 타다토모의 4남으로 태어났다. 만엔 원년 (1860년) 8월 20일, 형이자 5대 번주 혼다 타다노리가 사망하자 그의 양자가 되어 가독을 이었다. 같은 해 9월 1일, 제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알현했고, 12월 16일에는 종5위하 노토노카미에 서임되었다.

2. 1. 가계

구분내용
친아버지혼다 타다토모
친어머니오테루 (테라자와 씨, 측실)
양아버지혼다 타다노리
정실타가코 (호리 나오카쿠의 딸)
계실키시 (야나기사와 사토아키라의 딸)
양자혼다 타다노부 (혼다 타다유키의 장남)


2. 2. 막부 요직 역임

분큐 3년(1863년) 10월 1일에 지샤 부교에 임명되었다. 같은 해 10월 22일 소자반이 재설치되면서 지샤 부교와 소자반 직무를 겸임하게 되었다. 겐지 원년(1864년) 7월 6일에 와카도시요리로 승진했지만, 같은 해 12월 12일에 면직되어 테이칸노마 츠메가 되었다. 게이오 2년(1866년) 6월 22일, 와카도시요리에 재임명되었으나, 이듬해 게이오 3년(1867년) 4월 27일에는 사임했다.

2. 3. 보신 전쟁과 몰락

게이오 4년(1868년) 1월 보신 전쟁이 시작되자, 혼다 다다토시는 처음에는 신정부군에게 굴종의 뜻을 표했다. 그러나 센다이 번, 요네자와 번의 요청에 응하여 오우에쓰 열번 동맹에 가맹했다. 그 결과, 신정부군의 공격을 받아 같은 해 6월 28일에 이즈미 진야가 함락되었고, 다다토시는 센다이 번으로 피난했다.

1868년 9월 24일, 다다토시는 신정부군에게 항복 및 사죄를 신청하여 9월 27일에 승인되었다. 정식 처분이 내려질 때까지 근신을 명받았고, 같은 해 11월 5일에는 관위가 정지되었다. 다다토시는 신정부에 적대했기 때문에, 같은 해 12월 7일에 2000석의 감봉 및 강제 은퇴를 명령받았고, 가독은 양자인 혼다 다다노부(혼다 다다유키의 장남)가 이었다.

2. 4. 은퇴 이후

메이지 2년 (1869년) 10월 13일, 종5위로 복귀했다. 메이지 16년 (1883년) 2월 16일에 사망했다. 향년 65세.

3. 가계도


  • 친아버지: 혼다 다다토모
  • 친어머니: 테라자와 씨 오테루 (측실)
  • 양아버지: 혼다 다다노리
  • 정실: 호리 나오카쿠의 딸 다가코
  • 계실: 야나기사와 사토아키라의 딸 기시
  • 양자: 혼다 다다유키의 장남 혼다 다다노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